연금저축, ISA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, IRP(개인형 퇴직연금)는 한국에서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금융 상품이에요.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을 정리해 줄게요!
1. 연금저축
📌 개념: 노후 대비를 위한 장기 투자 상품으로, 연금 형태로 받을 수 있음.
📌 종류: 연금저축펀드, 연금저축보험, 연금저축신탁
📌 세제 혜택:
- 연간 최대 **400만 원(퇴직연금 포함 시 700만 원)**까지 세액공제(납입금액의 13.2%~16.5%)
- 연금 수령 시 3.3%~5.5% 연금소득세 적용 (55세 이후 10년 이상 분할 수령 시)
📌 주의할 점: - 만 55세 이후 10년 이상 연금으로 수령해야 세제 혜택 유지 가능
- 중도 해지 시 기타소득세(16.5%) 부과
✅ 누가 하면 좋을까?
- 소득이 있는 근로자, 자영업자(세액공제 혜택 큼)
- 노후 대비 연금을 미리 준비하고 싶은 사람
2. ISA 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
📌 개념: 다양한 금융상품(펀드, 예금, 주식 등)에 투자할 수 있는 절세 계좌
📌 납입한도: 연간 2,000만 원, 총 1억 원(청년형 ISA는 연 2,400만 원, 총 2억 원)
📌 세제 혜택:
- 3년 이상 유지하면 수익 200만 원(서민형은 400만 원)까지 비과세, 초과분은 9.9% 분리과세
📌 주의할 점: - 3년~5년간 자금이 묶일 수 있음(중도 해지하면 비과세 혜택 없음)
- 해외주식 직접 투자 불가 (ETF, 리츠 등 간접 투자 가능)
✅ 누가 하면 좋을까?
- 소득이 있는 사람(특히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)
- 절세하면서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하고 싶은 사람
3. IRP (개인형 퇴직연금)
📌 개념: 퇴직금 및 개인 추가 납입이 가능한 퇴직연금 계좌
📌 세제 혜택:
- 연금저축과 합산하여 연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(세액공제율 13.2%~16.5%)
- 퇴직금도 이 계좌로 넣으면 퇴직소득세를 이연 가능
📌 투자 가능 상품: 예금, 펀드, ETF 등
📌 주의할 점: -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해야 혜택 유지 (일시 인출하면 기타소득세 16.5%)
- 원칙적으로 중도 인출 불가 (일부 사유만 예외)
✅ 누가 하면 좋을까?
- 퇴직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싶은 사람
- 추가 납입을 통해 세액공제 혜택을 극대화하고 싶은 사람
비교 요약
항목 | 연금저축 | ISA | IRP |
목적 | 노후 대비 연금 | 투자 수익 절세 | 퇴직금+노후 대비 |
세액공제 | 연 최대 400만 원 (퇴직연금 포함 시 700만 원) |
없음 | 연 최대 700만 원(연금저축 포함) |
비과세 혜택 | 연금 수령 시 연금소득세 적용 | 3~5년 유지 시 수익 일부 비과세 | 연금 수령 시 연금소득세 적용 |
가입 대상 | 근로자, 자영업자 등 | 모든 국민 | 근로자, 자영업자 |
투자 가능 상품 | 펀드, 보험, 신탁 | 예금, 펀드, ETF 등 | 예금, 펀드, ETF 등 |
중도 인출 | 가능하나 기타소득세 부과 | 원칙적으로 불가(일부 예외) | 원칙적으로 불가(일부 예외) |
📌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?
1️⃣ 소득이 있는 사람
→ 연금저축 + IRP 활용해 세액공제 극대화
2️⃣ 중기 투자 & 절세 원한다면
→ ISA 활용 (주식·펀드 투자 후 비과세 혜택)
3️⃣ 퇴직금을 효율적으로 굴리고 싶다면
→ IRP에 퇴직금 넣고, 추가 납입하여 세액공제 혜택 받기
어떤 걸 선택해야 할지 고민된다면, 세액공제 혜택이 큰 연금저축과 IRP를 먼저 고려하고, 추가로 중기 투자 용도로 ISA를 활용하는 게 일반적으로 좋아요. 😊
'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OJ 금리 결정과 앤캐리 트레이드 청산 가능성 (5) | 2025.03.18 |
---|---|
2025년 노인 복지 정책 (5) | 2025.03.17 |
2025년 부동산 전망 (3) | 2025.03.13 |
우리의 과제 독도와 대마도 (9) | 2025.03.09 |
70대도 재테크 시작할 수 있을까? (5) | 2025.03.06 |